본문 바로가기

IT지식

에러 잡기 - nll_loss_forward_reduce_cuda_kernel_2d: block: [0,0,0], thread: [0,0,0] Assertion `t >= 0 && t < n_classes` failed.RuntimeError: CUDA error: device-side assert triggered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로 학습을 하는데 중간에 학습이 멈추고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opt/conda/conda-bld/pytorch_1712608935911/work/aten/src/ATen/native/cuda/Loss.cu:250: nll_loss_forward_reduce_cuda_kernel_2d: block: [0,0,0], thread: [0,0,0] Assertion `t >= 0 && t   에러에 n_classes 어쩌고 하는거보니 뭔가 input_ids의 인덱스나 labels의 문제인것 같았음.데이터 전처리 시 라벨이 1부터 n까지로 지정했던게 문제였음.모델이 출력하는 로짓의 인덱스와 라벨이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0부터 시작하는 정수로 지정해야.. 더보기
ImportError: libssl.so.1.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에러 발생 및 해결 sudo yum update -> sudo yum install openssl 더보기
huggingface 모델 학습 시 gpu가 여러 개일 때 발생하는 에러 RuntimeError: Expected all tensors to be on the same device, but found at least two devices, cuda:1 and cuda:0 trainer.train()을 하다가 위 에러가 발생했고 jupyter 환경에서 작업하고 있었기에 import os os.environ["CUDA_DEVICE_ORDER"]="PCI_BUS_ID" os.environ["CUDA_VISIBLE_DEVICES"]= "0" device = torch.device('cuda:0') model.to(device) 위와 같이 처리해주었지만 여전히 같은 에러 발생 print('Device:', device) print('Current cuda device:', torch... 더보기
티스토리 애드센스 설정 | 스킨에 치환자 넣기 티스토리 스킨에 치환자 넣기 티스토리에서 애드센스 설정을 하다보니 이런 경우를 마주치게 되었습니다. 목록 하단에 광고 설정을 하는 중이었는데 최근에 스킨을 변경한 이후로 하단에 광고가 나오지 않고 있더라구요. 확인해보니 목록 하단 광고가 꺼져있던 것이었습니다. 다시 활성화시키려고 하니 위 처럼 추가하라는 메시지가 나왔습니다. 먼저 설정에서 스킨 편집으로 이동합니다. 스킨편집에서 html편집으로 들어갑니다. 저는 페이지 번호 밑에 목록하단 광고를 넣을 예정입니다., 지금 창이 3개로 나뉘어져 있는데 F12를 누르면 2분할 되어있는 창에 맨 오른쪽과 같은 창이 하나 더 생길거에요. 가운데창의 코드와 오른쪽 창의 코드는 같은 HTML코드입니다. F12인 개발자도구를 사용하는 이유는 동그라미의 저 버튼을 누르면.. 더보기
VSCode에서 글자 크기 설정하기 코드를 작성하다가 vscode의 파일탐색기(explorer 창)에서 파일이름들이 너무 작게보여서 크기를 조정하기로 하였다. 특이하게 vscode는 font size 라고 되어있지 않고 window zoom의 개념으로 설정이 되어있었다. 먼저 왼쪽 하단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한다. Settings에 들어간다. 검색창에 zoom 을 입력하면 Text Editor, Window 이렇게 두개가 뜨는데 거기서 Windows에 들어간다. 내 경우는 -1로 초기설정이 되어있었는데 -0.3으로 조정하니 폰트들이 조금 더 확대되었다. 더 작게 만들려면 값을 음수쪽으로 더 낮추면 되겠습니다. 더보기
USB를 갑자기 뽑으면 안 된다? 잘못된 윈도우 상식 8가지 바로잡기 1. USB를 갑자기 뽑으면 안 될까? 아니다. 이제 USB를 빼기 전에 ‘하드웨어 안전 제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많은 사람이 플래시 드라이브, 외장 USB 드라이브 같은 USB 저장 장치를 반드시 ‘하드웨어 안전 제거’라는 기능을 통해 제거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필요할까? ‘상식’에 따르면 USB 저장 장치를 안전하게 제거해야 전송되거나 저장된 데이터가 온전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이 단계를 무시하고 아무 생각 없이 USB를 뽑는다. 제대로 제거하기 위한 추가 단계가 귀찮아서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과거에는 오류 메시지가 발생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해결책을 내놨다. 2018년 10월부터 윈도우 10 및 11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 새로운 ‘빠른 제거(.. 더보기

반응형